해리 덴트의 엔비디아 98% 대폭락 경고, 사실일까?
배성우 배성우

해리 덴트의 엔비디아 98% 대폭락 경고, 사실일까?

미국의 뉴스 채널 Fox Business에서 미국 증시, 엔비디아, 부동산이 언급되며 큰 하락이 예상된다는 인터뷰가 10일 공개되었습니다. 엔비디아는 98% 하락하고 나스닥은 92% 하락할 것이라며, 다소 믿기지 않는 충격적인 내용입니다.

실제로 해당 인터뷰는 국내의 각종 언론사에도 게재되며 이목을 끄는 중입니다.
Harry Dent는 “HS Dent Investment Management”자산운용사를 창업한 미국 경제지 저술가입니다.

Read More
검색을 대체한다?: 챗GPT vs Gemini, 구글이 포기 않는 이유
배성우 배성우

검색을 대체한다?: 챗GPT vs Gemini, 구글이 포기 않는 이유

알파벳(구글)의 주식을 하나라도 들고 계셨다면, 정말 울화가 치미는 내용이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알파벳이 어떤 방식으로 돈을 벌고 있는지 알면 이해가 됩니다. 이 돈 낭비(?)에는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거든요.

바로 검색 시장이 위협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검색 시장의 90%는 구글이 점유하고 있고, 알파벳 매출의 77.8%는 광고를 통해, 그리고 이 광고 매출은 검색엔진(=구글)을 통해 발생합니다. 사람들이 궁금한 것들을 찾아볼 때 구글 대신 챗GPT를 사용한다면 알파벳은 분명 광고매출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게 될 것입니다.

Read More
미국 주식 시간: 섬머타임은 뭐고 장 종료 후 거래하는 방법은?
배성우 배성우

미국 주식 시간: 섬머타임은 뭐고 장 종료 후 거래하는 방법은?

미국 주식 개장 시간은 한국 시간으로 오후 11시 30분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로, 미국과 한국의 시차 때문에 오전 9시에 시작하는 국내 주식 거래 시간과는 달리 늦은 저녁에 시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주식 시간과 다른 점이 하나 있습니다. 거래시간 아래 괄호에 들어가 있는 “서머타임”입니다.

서머타임, 일광절약 시간제(Daylight Saving Time)는 하절기에 국가의 표준시보다 한 시간 앞당겨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Read More
“악법이다”… ‘금투세’ 논란과 문제점 총정리
배성우 배성우

“악법이다”… ‘금투세’ 논란과 문제점 총정리

금투세란 금융 투자 소득세의 약자로, 금융 투자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을 뜻합니다.

주식으로 발생한 이익 외에도 배당금, 채권이나 펀드와 같은 금융 상품의 매매로 발생하는 이익에도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금융 투자 소득세는 이러한 금융 투자로 발생하는 소득이 5,000만 원을 넘길 경우 부과가 됩니다.

소득이 3억 원 이하일 시 5,000만 원을 공제한 후 총 22% (금투세 20% + 지방소득세 2%),

소득이 3억 원 초과 시 5,000만 원을 공제한 후 총 27.5% (금투세 25%+지방소득세 2.5%)의 합산 세율이 적용됩니다.

해외 주식의 경우도 과세를 피해가진 못했습니다.

해외 사모펀드, 해외 주식, 채권, ELS, 파생상품 등에 대해서는 기본공제액이 국내주식보다 더 낮은 250만원으로 책정되어, 해당 공제액을 초과하는 소득에 대해 세금이 부과됩니다. 국내 주식을 거래하는 투자자보다 더 불리한 상황인 것입니다.

Read More
배당주 투자, 손해인 이유
성륜수 성륜수

배당주 투자, 손해인 이유

배당주 투자는 배당소득세로 인해 복리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대부분의 배당주는 성장주에 비해 매력적이지 않아 기회비용 손해가 크다. 배당률과 배당성향을 고려해야 하지만, 배당성향이 높은 경우 지속 가능성이 낮다. 배당금 지급은 기업 성장에 대한 자신감 결여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배당소득세로 인해 복리효과가 미비하다. 성장주는 재투자로 인해 자본이 증가하고 세금도 덜 내 복리효과가 크기 때문에 더 매력적이다.

Read More
인플레이션,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성륜수 성륜수

인플레이션,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Bridgewater의 CIO Bob Prince는 연준의 금리 정책에 의문을 제기하며 올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CPI 추세와 다세대 주택 공급 증가는 인플레이션 감소를 예상하게 합니다. 특히, 신규 렌트비 상승률의 둔화와 주거비에 대한 후행적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강조하며, 2024년 하반기에는 이러한 변화가 소비자물가지수에 충분히 반영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Read More
효과적 이타주의와 경제학의 한계
성륜수 성륜수

효과적 이타주의와 경제학의 한계

이 글은 효과적 이타주의의 개념과 이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다룬다. 효과적 이타주의는 이타적 행동을 실현하기 위해 타당한 근거와 추론에 기반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으려는 사회운동 혹은 윤리학적 사조로 설명된다. 이 운동의 대표적인 제창자로는 윤리학자 피터 싱어가 언급되며, 실리콘 밸리에서도 인기 있는 사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자선 활동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며, 이성과 증거에 기반하여 타인 및 인류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추구한다.

그러나 효과적 이타주의는 공리주의적 윤리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1,000만원을 가지고 있을 때 이웃을 돕는 대신, 낮은 확률로 더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는 방법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특정 상황에서 윤리적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일부 사람들이 결과적으로 사회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며 자신에게 유리하거나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결정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글은 공리주의가 개인과 공감에 대한 고려를 배제한다고 비판하며, 이러한 점이 경제학과 효과적 이타주의가 실제 인간 사회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라고 주장한다. 이는 고전 경제학이나 효과적 이타주의가 실제 사람들의 행동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Read More
스탠다드를 지배하는자가 승리한다.
성륜수 성륜수

스탠다드를 지배하는자가 승리한다.

오늘날 인류 사회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국가라 할 수 있는 미국은 모든 경제활동의 근본이 되는 화폐인 미국 달러를 세계 경제의 스탠다드로 제공하고 있다. 비즈니스에서 발생한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한 사업가들은 흔히 정치에 입문하곤 하는데, 화폐를 제외하면 법률이 그 사회의 스탠다드를 결정짓기 때문이다.

Read More
2024 주요 시장 전망
이정현 이정현

2024 주요 시장 전망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 시장을 과거 시장과 비교한 차트를 본 적이 있을 것이며, 지난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는 상당히 잘 일치한다. 그런 다음, 이 역사적 추세를 미래로 추정하여 이번에도 시장이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예측한다…

Read More
세상을 놀라게 한 기술 기업들이 한 마음으로 돕는 'AI 기업'
배성우 배성우

세상을 놀라게 한 기술 기업들이 한 마음으로 돕는 'AI 기업'

기술 발전의 텀을 비교해보면 기술의 발전 속도는 우상향하는 직선이 아니라 우상향하는 곡선임을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가속도를 한 단계 더 붙이는 요소 중 하나는 역시 일의 효율성을 늘리는 것입니다. 가령 신용의 존재, 오늘날 기업의 구조 등이 없었다면 기술의 발전은 직선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Read More
DraftKings 분석
이정현 이정현

DraftKings 분석

2012년 설립된 미국 프로리그 및 프리미어 리그를 포함한 판타지스포츠 및 스포츠베팅을 운영하는 회사이다. 제일 먼저 MLB에서 1대1 판타지 경쟁으로 시작한 DraftKings는, 2013년 MLB의 공식적인 투자를 받으면서 성장의 받침대를…

Read More
소형주의 종말
이정현 이정현

소형주의 종말

Furey 리서치의 Jeff Burton은 최근 "소형주의 죽음"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지난 40년 동안 소형주의 저조한 실적과 러셀 2000 지수의 질적 악화를 강조하였다.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에서 수익성이 낮은 기업의 비율이 증가함에 품질이 저하되었다는 점이다…

Read More
Deckers Brands 분석
이정현 이정현

Deckers Brands 분석

Decker Brands는 1953년 Doug Otto와 Karl F. Lopker이 공동 설립한 신발 회사로서 현재는 약 156억 달러의 시장 가치를 보유하며 UGG, Hoka, Teva, 등의 유명 신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이다.

Read More
디폴트는 일어나고 있는가?
이정현 이정현

디폴트는 일어나고 있는가?

역사적으로 연준의 자금 금리가 급격히 상승할 때마다 높은 채무 불이행률이 발생했다. 이는 취약한 차입자들이 높은 차입 비용과 성장 둔화 사이에 압박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현상이었다. 실제로 챕터 11 파산 신청 건수만 봐도…

Read More
모기지 금리는 얼마나 중요할까?
성륜수 성륜수

모기지 금리는 얼마나 중요할까?

모기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대를 넘어 8%대에 안착할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현재 30년 만기 모기지 금리는 7% 초반대로, 지난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중…

Read More
경제 흐름에 대한 새로운 시나리오, 그리고 Slok의 우려
배성우 배성우

경제 흐름에 대한 새로운 시나리오, 그리고 Slok의 우려

과한 양적완화 위에 급한 긴축적 정책을 얹어 경기침체로 이어질 것이라는 경착륙(Hard Landing)

그리고 강한 노동시장을 기반으로 인플레이션이 정상화 될 때까지 금리를 버틸 수 있을 것이라는 연착륙(Soft Landing)

이 두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서로 의견이 충돌하는 와중, 새로운 가능성이 급부상하며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무착륙(No Landing)입니다.

Read More